본문 바로가기

포토저널리즘3

한국의 포토저널리즘 한국의 포토저널리즘 1) 사진술이 전래된 시대적 배경 사진술의 도입 한국에 사진술이 도입된 시기는 1875년 강화도조약체결 이후이다. 조약체결로 다음해 부산·인천·원산 등 세 항구가 개항되었을 뿐 아니라 김기수를 비롯한 조선대표단 75명이 일본과 서양의 신문물을 견학하고 돌아왔다. 즉 일본과 이미 무역이 이루어지고 있었으므로 이 시기에 사진술이 들어왔다고 보는 견해가 가장 유력하다. 1839년 8월 19일 다게레오 타입의 사진술이 프랑스 과학아카데미에서 정식으로 공포된지 37년만에 한국에도 사진술이 들어오게 된 것이다. 1880년 고종의 수신사로 김홍집 들 58명과 1881년 박정양, 어윤중 등 10여명이 일본을 다녀왔고, 김윤식등 69명이 청나라를 왕래했다. 이러한 활발한 방문으로 인해 조선에도 개화의.. 2013. 3. 3.
유럽과 미국 포토저널리즘의 생성 유럽과 미국 포토저널리즘의 생성 1880년대 후반에 가서야 구미 포토저널리즘은 싹이 트기 시작했다. 가장 먼저 재판에서 사진이 증거물로 인정되어 그 가치를 발휘했으며 정치가들은 자기의 선전하기 위해 사진을 최대한으로 활용했다. 1897년 영국의 상원의원 밴저민 스톤(Benjamin Stone)은 저명한 사진가들을 동원, 국립사진기록협회(National Photographic Record Association)를 만들어 전통적 풍습과 예절을 일일이 사진으로 기록했으며 도시로 변하기 전의 시골촌락을 기록 6,000여장의 사진을 제작하여 보관했는데 그것들은 현재 대영 박물관에 잘 보관되어 있다. 미국에서는 그 동안 인디언 말살정책으로 죽어가는 서부인디언들의 비참한 모습이 신문에 보도되자 인디언을 보호하자는 운.. 2013. 3. 3.
보도사진이란 무엇인가? 보도사진이란 무엇인가? 1) 보도사진의 역사 역사상 최초의 보도사진으로 인정받는 작품은 1848년도 비오(Hermarm Biow)와 스텔즈너(Carl Stelzner)가 독일 함부르크에서 있었던 ‘대화재’를 기록한 40여장의 사진들이었다. 하지만 이 풍경사진(?)들은 본격적인 사회현상을 보여준 작품은 아니었던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그렇다면 최초로 포토저널리스트(Photojounalist)라는 용어를 사용한 사람은 누구일까? 그는 주로 정치뉴스 사진을 찍던 에릭 잘로몬(Erich Saloman)이란 사진작가였는데 자신 스스로를 포토저널리스트라고 칭하였다고한다. 그는 창조적인 방법론으로 그의 직업에 있어 명성과 지위를 가져온, 포토저널리스트들에겐 선구자적인 역할을 제시한 인물이었다. 2) 보도사진과 신문사.. 2013. 3. 3.